2024.03.24 (일)

  • 맑음동두천 20.2℃
  • 구름많음강릉 11.6℃
  • 구름많음서울 19.2℃
  • 흐림대전 15.8℃
  • 흐림대구 12.1℃
  • 흐림울산 12.2℃
  • 광주 14.1℃
  • 흐림부산 13.2℃
  • 흐림고창 15.9℃
  • 흐림제주 14.7℃
  • 구름많음강화 17.8℃
  • 흐림보은 14.8℃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3.6℃
  • 흐림경주시 11.2℃
  • 흐림거제 13.6℃
기상청 제공

한국화장품, 중국에서 의외 고전

다이공 싹쓸이, 면세점 저가품으로 인식 등 요인

중국서 한국 화장품이 고전하고 있다. 유로모니터가 9일 발표한 지난해 중국 화장품(생활용품 포함) 시장 규모와 브랜드별 점유율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 한국의 주요 화장품 브랜드는 10위권에 들지 못했다. 

 

.

아모레퍼시픽의 이니스프리·라네즈가 각각 17위(1.1%)와 37위(0.6%)에 올랐으며, LG생활건강 후는 0.5%로 46위로 조사됐다. 후의 시장점유율을 중국 전체 화장품 시장에 대입하면 매출은 약 3억1000만 달러(약 3600억원) 수준이다. 후는 지난해 단일 브랜드로는 한국 최초로 매출 2조원을 돌파하며 역사를 새로 썼다. 다이공(代工·중국 보따리상)이 80%를 차지하는 시내 면세점에서만 1조원 이상 팔렸으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소문과 달리 중국 화장품 시장의 벽은 만리장성만큼이나 높았다. 스테파니 야오 유로모니터 중국 수석연구원은 "K뷰티는 지금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장인정신에 기반을 둔 일본 화장품은 고품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유럽 브랜드는 이미 프리미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차이나 뷰티(C-뷰티)는 중국 전통 한방을 이용한 제품력과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 글로벌 브랜드 대비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워 약진 중"이라며 "몇몇 C-뷰티 브랜드는 젊은 층을 잡기 위해 K-뷰티를 모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

설화수 등 한국의 고가 화장품은 중국에서 영토를 넓히지 못하고 있다. 후의 중국 시장점유율은 최근 2년 동안 0.1%P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글로벌 브랜드와 경쟁은 물론 중국 로컬 브랜드가 약진하면서 성장이 정체된 셈이다. 여기에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후 한·중 간 관계 악화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인에게 한국 화장품은 '면세점 기획 상품'이라는 인식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설화수·후가 한국의 시내 면세점에서 불티나게 팔린 지가 수년 됐다. 대부분 다이공이 중국으로 가져가 유통한다"며 "중국 사람들 입장에선 굳이 중국 백화점에서 제값 주고 살 필요가 없게 된 셈"이라고 말했다. 이연택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면세점 쇼핑이 곧 쇼핑 관광이 되면서 한국 제품은 면세점에서 싸게 사는 물건으로 인식됐다. 제품 브랜드 이미지는 물론 국가 브랜드 이미지까지 훼손할 수 있는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출처: 중앙일보]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