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K-뷰티, 中 화장품 시장에서 새로운 변화 찾을 때

중국 로컬 브랜드 급성장, J-뷰티는 중국 1위로·, 술력으로 승부해야

★C- 뷰티(중국산), 중국 화장품 시장 절반 이상 장악 
★ J-뷰티(일본산), 중국 화장품 수입시장 1위로 부상 
★ 트렌디한 아이템보다 기술력으로 승부해야 

 

.
중국에서 높은 인기를 모았던 K-뷰티가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성애 중국 베이징무역관은 C-뷰티(중국산)는 중국 화장품 시장의 절반 이상을 장악했으며, J-뷰티(일본산)는 중국 화장품 수입시장 1위로 부상하는 등 K-뷰티는 이제 트렌디한 아이템으로 경쟁하기 보다는 기술력으로 승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애 중국 베이징무역관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 이른바 C-뷰티(차이나 뷰티)의 약진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텐센트가 지난 5월 발표한 <2019 C-뷰티 보고서(2019年国货美妆洞察报告)>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C-뷰티 시장점유율이 56%로 절반을 넘어섰으며,  지난 7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산하 티몰 & 타오바오의 기초화장품 매출 TOP 10에 이름을 올린 로컬 브랜드가 6개에 달한 반면  K-뷰티는 지난 해 7월 LG생활건강의 궁중 화장품 ‘후’가 6위에 올랐으나 올해는 6, 7월 모두 TOP 10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같은 기간 색조화장품 매출 TOP 10에서도 C-뷰티가 5개로 절반 차지했으며, Perfect Diary는 지난 해 7월엔 6위에 머물렀으나 1년 만에 YSL, MAYBELINE 등 글로벌 브랜드를 제치고 2개월 연속 월간 매출액 1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입화장품 시장에서는 J-뷰티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2017년부터 중국 수입시장에서 K-뷰티 제품의 수입증가률이 평균치를 하회한데 반해 J-뷰티 관련 제품은 80~90% 고속 성장세 유지했다. 올 상반기에 J-뷰티 제품의 수입증가율이 평균치인 39%보다 높은 44.4% 기록한 반면 K-뷰티 제품의 수입증가율은 15.4%에 그쳤다.


매스티지-매스 시장에서 C-뷰티 약진이 강세를 나타냈다. C-뷰티는 중국 전통 중의학을 활용한 제품력과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 외국산 대비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워 매스티지-매스 시장을 집중 공략해왔다. 텐센트의 조사에서 일부 조사대상자는 “C-뷰티 제품력은 비싼 외국산과의 차이를 못 느낄 정도로 좋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로컬 업체들은 매스티지-매스 시장의 핵심 소비층인 Z세대(1990년대 태어난 20대)와 3, 4선도시 소비자들의 트렌디한 아이템과 디자인, 합리적인 가격과 같은 소비자 니즈에 적극 대응 중에 있다. 이 밖에 공격적인 신규 브랜드 출시와 광고 마케팅, 모바일 채널과 SNS 내 왕홍 마케팅으로 시장을 장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프리미엄 시장 진출까지 적극 시도 중이다.

 

미래 대응책

 

럭셔리·프리미엄 제품 출시와 새로운 브랜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현지 대표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 관계자는 KOTRA 베이징 무역관 인터뷰에서 “K 뷰티는 트렌디한 아이템으로 지금까지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 해왔다”며 “이는 로컬 브랜드들이 모방하기 쉬운 부분이며 현 시점에서 로컬 기업의 신제품이나 신규 브랜드 출시속도는 외국 기업들을 추월했다”고 밝히고 있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뛰어난 기술력으로 럭셔리·프리미엄 시장에서 K 뷰티의 우수성을 어필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또 2019년 1~6월 기준 중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화장품 수입액 중 기초화장품 비중이 95.9%에 달할 정도로 기초화장품에 편중돼 있어 색조화장품, 헤어케어, 향수 등으로 상품군을 다양화할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출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