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수면은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은 상식이 되어 있다. 그런데 도쿄대 의학박사 '모리타 도시히로(森田敏宏)' 의학박사는 수면중의 적절한 체온유지가 면역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선재광 한의학 박사가 청혈과 따뜻한 체온유지가 면역력을 증진시켜 만성질환 극복에 핵심적인 처방이 된다는 지론을 오래전부터 강조하고 있었다. 수면과 면역력의 관계 - 도쿄대 의학박사 모리타 도시히로(森田敏宏) 안녕하세요 모리타 도시히로입니다. 오늘은 평소 날마다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면역력" 입니다. 특히 면역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수면입니다. 수면 중 면역력을 낮추지 않기 위해서는 체온을 낮추지 않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체온을 올릴 경우 면역력이 상승한다고 하는 설이 있습니다. 저도 여러 문헌을 조사해보았지만, 근거가 되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내 경험으로 보아도 수면 중에는 몸을 차게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시다시피 인간은 항온동물입니다. 36.5도 전후로 아주 좁은 범위에서 체온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체온이 내려가면 항상성, 균형이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수면 중에는 가뜩이나 체
걷기의 효과는 우선 활력과 행복감을 북돋운다. 걷기를 하면 혈액순환이 향상돼 몸속 세포 내 산소 공급이 증가하고, 근육과 관절의 긴장도 완화돼 활력이 늘어난다. 전문가들은 “이런 효과는 일반적인 우울증 약에 견줄만하다”며 “걷기를 하면 행복호르몬으로 불리는 엔도르핀 형성을 도와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에도 좋다”고 말한다. 야외에서 걸으면 뼈 건강에 필수적인 비타민D 생성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골밀도가 증가해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체중을 줄이고, 탄탄한 몸매를 만들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켜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이런 걷기 운동의 효과와 관련해 매일 20분 이상씩 걷는 노인은 사망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보훈병원 연구팀이 70~92세 남성 3000여 명을 대상으로 운동량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체중과 흡연 경력을 고려했으며 평균 6년가량을 추적해 사망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20~40분씩 걷기 운동을 하는 노인은 사망 위험이 약 5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메디닷컴의 이어진 기사는 “노화와 죽음은 피할 수 없지만 신체활동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면 노화의 속
중국 베이징대학 심리학자인 레이 왕 박사팀은 차를 마시는 것이 융합적 사고(convergent thinking)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융합적 사고란 미국 심리학자 길포드(Guilford, J. P.)가 제안한 사고 유형 중 하나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대안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사고를 말한다. 실험 결과, 연구진은 난이도가 높은 창의적 과제를 수행할 때 물을 마신 사람에 비해 차를 마신 사람이 더 나은 성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은 당면한 과제의 난이도가 낮을 경우에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그룹 참가자의 과제 수행능력은 단어 연상 과제 후반부에 크게 차이가 나, 차를 마시는 것이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를 지속적으로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에 의하면 차를 마신 그룹의 참가자들은 물을 마신 그룹보다 더 행복해했고 과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왕 박사는 “이번 연구가 습관적으로 차를 마시는 사람들이 얻는 인지적 이점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창의적인 일에 종사하거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코로나백신에 AZ가 있다면 고혈압,당뇨 극복의 AtoZ가 될 건강솔루션이 있습니다. 만성질환 해결, 간단명료한데도 그 방법을 알지 못함으로 인해 고통받으시는 분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선재광 한의학 박사가 100회 이상 방송과 10여권 저서의 중요한 내용들을 45개의 편지로 정리하여 수 많은 분들에게 희망과 용기의 메세지가 되고 있습니다. 45일 무료건강편지, 행운처럼 다가온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더 알아보기 -> http://leadg.kr/850
음악은 우리의 관심을 끌고, 다양한 감정을 자극하며, 우리의 기분을 바꾸는 등 우리가 알게 모르게 많은 삶의 부분에 스며들어 있다. 음악 없는 삶이란 어떨지 상상이 가지 않을 정도로 이동할 때, 공부할 때부터 집 청소 할 때 까지 우리와 함께한다. 특히 운동 운동할 때 듣는 플레이리스트가 따로 있을 만큼 (실제로 음악 없는 헬스장에 가본 적이 없는 것 같을 정도로 중요한 요소다. 그렇다면 음악은 운동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을 하면 능률이 올라가며, 뇌가 인지하는 활동량과 피곤함을 줄여줘 덜 힘들다고 느끼게 해준다고 한다. 한 연구팀은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50명의 19~25세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할 때 나타나는 변화를 측정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각 음악이 있고, 없는 환경에서 운동을 했는데, 음악이 있는 환경에서는 본인이 고르고 싶은 음악을 선택해 스피커 폰으로 틀고 손끝에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착용하고 운동을 했다. 운동할 때 움직임과 심박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였죠. 그 결과, 음악이 없는 환경보다 실제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했을 때 총 운동 지속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그리고 최대 심박수 또
☆외출할 때 몸에 지닌 물건을 몇 번이나 확인한다. ☆같은 이야기를 반복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사소한 일로 금방 화를 낸다.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금방 잊어버린다. ☆지도를 그리거나 보는 것이 힘들어졌다 ☆어제 저녁 식사나 저녁 tv 프로그램이 기억나지 않는다 ☆걷는 보폭이 좁아지고 걸음거리가 느려졌다 ☆신문이나 tv 뉴스에 관심이 없어졌다 ☆약속 장소나 시간을 착각하는 일이 생겼다 ☆계산을 할 때 잔돈이 아니라 지폐를 내는 일이 많아졌다 ☆아는 장소인데도 헤매는 일이 있다 ☆준비하는 것이 귀찮아지고 계획성도 없어졌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 앞서 하던 일을 잊어버린다 ☆전부터 즐기던 취미 노래 영화 수공예 등에 관심이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잠든 뇌'를 깨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운동이라고 조언한다. 특히 남녀노소가 손쉽게 할 수 있는 걷기는 가장 좋은 운동이다. 웃음과 명상도 뇌 건강에 좋다. 100세 시대에 건강하고 멀쩡하게 살아가려면 이제 뇌를 가꾸고 활력 있게 만드는 '뇌미인(腦美人)'이 돼야 한다. 뇌는 추위에도 취약하다. 기온이 뚝 떨어지면 뇌출혈(뇌혈관 터짐)과 뇌경색(뇌혈관 막힘)이 잘 발생한다. 따라서 여름에는 머리를 시원하게, 환절
지금까지의 각종 커피 관련 연구에 대한 잠정 결론을 내리는 듯한 대규모의 장기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심혈관센터의 연구 결과다. 이에 따르면 11년 동안 커피를 하루에 0.5~3잔 마신 사람들(중년)의 경우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2%,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7%, 뇌졸중 발병 위험이 21% 각각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모집 당시 심장질환의 징후가 없는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연구 참가자 46만 8629명(평균 연령 56.2세, 여성 비율 55.8%)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와 심장마비, 뇌졸중, 사망과의 연관성을 조사·분석했다. 분석 기간은 10~15년(중앙값 11년)이었다. 특히 심장의 구조 및 기능을 평가하는 수단인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촬영자 3만 650명의 데이터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커피를 하루 3잔 이하 마신 사람들의 심장이 건강한 기능과 크기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Association of daily coffee consumption with cardiovascular health – Results from the
면역체계가 활동해 20~30%의 나머지 암세포를 죽일 수 없다면 환자는 나머지 암세포로 인해 사망한다. 여기에 아이러니가 있다. 화학요법으로 암세포를 죽여서 목숨을 살릴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면역체계가 9회 말에 홈런을 치지 않는 한 암이 이긴다. 홈런을 쳐야 한다면 어떤 식으로 베트를 휘둘러야 하는가? 다음 말에 주목해주길 바란다. 결국 사람이 만든 암치료법은 없다. 면역체계가 마무리작업을 해야만 한다. 내가 아는 한 사람이 만든 질병치료법은 없다. 어떠한 병이라도 마찬가지다. 나는 암 치료 권위지들을 많이 알고 있다. 하지만 파고들어 가보면 암을 치유하는 주인공은 언제나 면역체계다. 언제나 진정한 스타는 면역체계인 것이다. -Alexander Loyd 著 <힐링 코드> 중에서 @출처 : 변성식의 마음건강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