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회관 제2로비 전시장에서 창업가정신을 조명하는 기획 전시회 ‘THE창업가 : Entrepreneurship’가 7일 개막했다. 이번 전시는 코리아스타트업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 장철민 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오는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코리아스타트업 출범 5주년을 맞아 ‘창업가정신’을 조명하고 사회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추진된 THE창업가 캠페인의 일환으로 열렸으며, 전시를 통해 스타트업 창업가에게는 공감과 용기를, 국민에게는 도전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취지로 기획 되었다. 전시에는 지난 10월 공개된 미니 다큐멘터리 ‘THE창업가 :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의 영상 상영과 지난 9월부터 진행된 창업가 38인의 인터뷰 내용 등으로 구성됐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최성진 대표는 “올해로 코스포 5주년을 맞아 ‘스타트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선언과 함께 창업가들이 사회적으로 존중받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THE창업가 캠페인을 추친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창업가들의 도전 정신이 더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2016년 9월,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을 지원하고 공동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스
유튜브로 저작권 걱정없는 음악 무료다운받기 유튜브에서도 양질의 음악을 무료로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다는 것 아세요?
비즈니스를 위한 랜딩페이지와 상세페이지 등 작성에필요한 유무료 콘텐츠 링크를 안내합니다. 실무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산돌구름다리 https://www.sandollcloud.com/download.html #게티이미지 https://rfpro.gettyimageskorea.com/ #아트리스트 https://artlist.io/ #아트그리드 https://artgrid.io/ #타입캐스트 https://typecast.ai/ #엔바토 https://elements.envato.com/ #셔터스톡 https://www.shutterstock.com/ #비디오몬스터 https://videomonster.com/ #pexels https://www.pexels.com/ko-kr/ #crowdpic https://www.crowdpic.net/ #PNG tree https://kor.pngtree.com/ #pixta stock https://kr.pixtastock.com/ #iStock photo https://www.istockphoto.com/kr #Storyblocks https://www.storyblocks.com/
대량 O2O에서 1인 O2O 시대로 ! 휴대폰 1대로 7가지 마케팅 동시 실행 ! 효율의 극대화 실현 ! ‘온리원셀링’ 플랫폼을 통해 쉽고 빠르고 편리한 마케팅으로 1인 기업인들의 애로를 능히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 Biz플랫폼 ▶셀프브랜딩 1인 모바일 플랫폼 ➾ IT명함 구축과 쉽고 편리한 공유 ▶무료 문자발송과 콜백기능 ➾ 광고홍보용 문자발송과 자동 재홍보 툴 ▶잠재고객DB 수집 ➾ 사업 확장을 위해 필수적인 고객DB 수집 기능 ▶문자,메일 자동 대량발송 ➾ 지속적인 홍보를 위한 마케팅자동화 툴 ▶마이샵 운영 ➾ 자신만의 콘텐츠를 ‘마이샵’에 수록하여 전방위 홍보 ▶프렌즈 확보 ➾ 이노벤츠 플랫폼의 10여만 프렌즈를 잠재고객화 ▶기관단체용 ➾ 핵심 콘텐츠를 소속 멤버간 상시 공유 ▶직영 미디어를 통해 해당기업의 콘텐츠 기사화 제공 ▶영상홍보 ‘유튜브 shorts’ 템플릿 제공 ▶국내외 비즈니스 뉴스와 정보 등을 정기적으로 제공 ▶국내외 각종 최신 마케팅 툴을 수집,정리하여 제공 ▶상세자료 신청하기 ➼
올해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시상에서 '시각 인공지능 기반 동작 분석·평가기술'을 홈 피트니스 사업화 전략에 활용한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김해담·김지호·김순정 팀이 대통령상을 받았다. 특허청은 24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시상식을 했다. 이번 대회에는 72개 대학에서 1천747팀이 참가했고, 27개 대학 123팀이 상을 받았다. 대통령상을 받은 김해담 팀은 "실현 가능한 사업을 제시하기 위해 철저한 특허 분석과 수요기업 조사를 진행했으며, 대회를 통해 다양한 전공자 간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다. 국무총리상은 김태멘·최보나팀(경기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은 심재영·정서윤·박서영팀(한양대 에리카캠퍼스)과 이유나·권주희·천준영팀(금오공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은 이해진·최지원·김민지팀(한양대 에리카캠퍼스)과 박은경·서진찬·김하영팀(한양대 에리카캠퍼스), 특허청장상은 이정민·도소라팀(한양대 에리카캠퍼스)과 배우진·심연진·강다은팀(홍익대)이 받았다. 수상자는 상금과 함께 '차세대 지식재산 리더'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지식재산강좌 수강 기회와 스타트업 창업 지원 컨설팅 등 혜택을 받게 된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학생들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DEVIEW) 2021, 24일 개막 네이버는 24일 개막한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DEVIEW) 2021'에서 개발자들과 함께 기술을 통해 성장해 나가자는 의지를 밝히며,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네이버의 기술 및 연구·개발 중인 선행 기술들을 공유했다. 데뷰는 2008년 네이버의 사내기술행사로 시작해, 2010년 외부 개발자에게 문호를 개방했다. 특히, 2017년부터는 글로벌 AI 연구소 네이버랩스유럽의 저명한 연구원들도 참석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세션들을 진행하고 있다. 24일부터 사흘간 진행되는 올해 데뷰는 검색·AI·클라우드·로봇 등 네이버 개발자들의 최신 기술, 경험, 노하우가 담긴 역대 최대 116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회사 측은 “이번 데뷰에는 약 8천 여명이 사전 참가신청을 했으며, 네이버 각 기술 부서들이 직접 개발자 밋업과 온라인 채용 상담 등을 진행하는 ‘라이브 부스(LIVE BOOTH)’에 대한 기대도 높았다”며, 네이버 기술에 대한 개발자들의 많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 날 컨퍼런스는 『세계로 항해하는 네이버의 기술, 그리고 새로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네이버 서비스의
엔에이피에스가 한국형 화상 미팅 메타버스 플랫폼 ‘밋페이지’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온택트(ontact, 온라인 대면)가 주목받으면서 해외 화상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Gather.town)을 비롯해 국내 3D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등장했다. 다만 숨은 기능이 많고, 한국어 설정이 없는 등 초보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한국형 화상 미팅 메타버스 ‘meetpage’ (밋페이지)는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설정 가능한 캐릭터와 심플한 UI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초심자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 업무용 기능으로는 △화상 회의 및 동시 화면 공유 △말풍선 채팅·귓속말 △근태 관리 △유튜브 스트리밍·PDF·설문조사 등 외부 서비스 연동 등을 탑재해 실시간 교류를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휴 솔루션을 통해 상호작용을 이루며, 사용자가 용도와 특성에 맞게 직접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개발사 기획팀 손가현 과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교육 공간, 기관의 영상회의 및 행사, 근태 관리, 메시징 업무 등의 디지털화가 가속하고 있다”며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meetpage (밋페이지)는 국내 사용자의
MZ세대의 특징과 마케팅 전략은 무엇일까? MZ세대는 1980~1994년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1995년 이후 태어난 Z세대를 통칭한다. 흔히 2030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외국에서는 Gen Y(Millennials), Gen Z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MZ세대는 베이비붐 세대(1955~1975년 출생자), 386 세대(1960년대 출생자), X세대와 어떤 점에서 다를까? MZ세대는 세계 인구의 33%이고, 2040년에는 50% 이상을 차지하여 X세대의 구매력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에게는 이러한 MZ세대의 소비 활동과 사회적 움직임을 분석해 마케팅의 전략을 찾아내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되었다. MZ세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세대 MZ세대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등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다. TV를 보면서 자란 세대가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고 구독한 최초의 세대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수집능력이 뛰어나 습득한 정보가 사실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온라인 쇼핑을 활발히 이용한다. 또한 MZ세대는 SNS를 통해 정보를 소비, 유통, 배포, 재생산하는 것에 익숙하다. 오프라인보다 비대면 커뮤니